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 10월30일과 11월1일 수업시간을 위한 질문 List
  • Che3022001/10/28 조회수 : 1545
  • 여기에 질문 내용을 올려주세요.

    암호는 1입니다.

    1. over damped 와 under shoot는 같은 내용인가여?

    글구 over shoot와 under damped가 다른 건 알겠는데..

    위의 네가지에 대해서 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2. 밸브에서 소닉 플로워에 대해서 잘 이해가 안갑니다..

    3. PID control에 대한 질문입니다.

    (Lecture 1 중에서 20, 21, 22, 26 page 내용)

    P control 에 보면 fast corrective action이라고 나와 있고

    PI control 에는 The action is not immediate 라고 되어 있고

    다음장에 Advantages 에는 fast action이라고 되어 있군여..

    글구 PID control 에 가보면 less settling time, the action is

    immediate 라구 나와 있군여.. 이걸 어떤 식으로 해석하구

    이해해야 가장 정확한건지요? 궁금합니다..

    3-1. P 모드에 대한 질문 입니다.

    P mode 의 단점이 offset이 존재 해서라고 다 나와있는데

    이게 set point 가 바뀌었을때 그에 따른 출력치가 그것을 따르

    못해서인지 아님 에러 텀이 계속 존재하기 때문인지 잘 구분이

    안갑니다. 그리고 출력치는 따라가는데 에러가 계속 존재하기

    때문이라면 ( 저는 이렇게 이해하고있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출력만 맞으면 그 공정은 똑바로 돌아가는 거아닙니까??

    어차피 셈플링이나 그것의 계산과 출력은 계속 해줘야 되는 거

    아닙니까?? 제가 모르는 어떤 또다른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4. D/A convertor에서 Digital discript를 연속신호로 만들어

    주는데 왜 연속신호로 해야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 주는 방법이 수업시간에 세가지 정도 이야기

    해 주신 것 같은데 이런 방법이 다인지요?

    5. 전에 게시판에 올라 와있던 state-space 란 것에 대해

    보긴 했는데 그 개념이 잘 모르겟습니다. 수업시간에 다시 설명

    한번만 해주십시요. 앞으로 수업 잘듣겠습니다.

    6. pid control 에서도 oscillation 을 만들 수도 있는데 resonance 를 이용해서 underdamped system 처럼 사용한다 는 것이 조금 이해가 안 갑니다. 그리고 지금 배우고 있는 transfer function 과 처음에 배웠던 pid control 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앞에서 배운내용하고 연결돼는 것 같기는 하지만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7. 비교적 간단한 process인 경우에는 수지식을 통해서 model을 세우고 그에 따른 reponse를 알 수 있었지만, 보다 복잡한 경우에는 experimental data를 가지고 보다 낮은 차수의 response로 approximation하여 empirical model을 세울 수 있다고 lecture 7에 나와 있습니다. 근데 실제 공장에서 볼 수 있는 process(예를 들어 증류탑)같은 경우 엄청 복잡하고 다양한 response를 보일 수 있는데 이경우에서도 낮은 차수로 근사할 수 있는지 궁금하고, 현장에서 어떻게 model을 설계하고 적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