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 한국재료학회 |
학술대회 | 2018년 가을 (11/07 ~ 11/09, 여수 디오션리조트) |
권호 | 24권 2호 |
발표분야 | 2. 생체재료와 조직재생(Biomaterials and Tissue Regeneration)-오거나이저: 이병택 교수(순천향대) |
제목 | Clinical factors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biomaterials and tissue engineering |
초록 | 구강조직은 뼈, 근육, 점막, 치아 등 다양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아래, 윗턱뼈는 이러한 조직을 지지하고 기능하도록 하는 중요한 구조물로서 다양한 질환에 의해 턱뼈의 기능장애 및 결손이 일어나게 된다. 턱뼈는 치아를 지지하는 치조골과 치조골에서 전달된 힘을 분산시키고 지지하는 골체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래턱뼈는 얼굴의 외형을 결정하기 때문에 미용적으로도 중요하고, 운동을 통하여 음식을 저작하고, 발음을 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외상이나 구강암등의 종양에 의해 악골의 결손이 일어나거나, 치주염등으로 인하여 치조골의 손실이 일어난 경우 턱뼈의 뼈재생치료를 하게 된다. 가장 흔히 행해지는 시술이 뼈이식술이며, 자가뼈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자가뼈는 다른 어딘가에서 뼈를 채취해야하는 것으로 그양이 많지 않은 경우 인공적인 뼈 대체물질을 이식하게 된다. 최근들어 치과임플란트의 발전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위한 치조골을 재생할 목적으로 뼈이식술이 다양하게 시도되며, 점점 골재체재(bone substitut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골이식재료 특히 합성골이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조직공학적 기술의 발전으로 생물학적인 장점을 가진 재료들이 이미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합성골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Hydroxyapatite나 β-tricalcium phosphate가 주로 사용된다. 다양한 조성과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재료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임상에서 획기적인 결과를 보이는 재료나 방법이 아직 한계를 보이는 것은 재료적인 특성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조직재생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식되는 인체에서의 임상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본 연제에서는 치과의 치조골 및 턱뼈의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여러 재료들의 임상적 응용과 성공적인 결과를 위한 임상적 조건들에 관하여 논의될 예정이다. |
저자 | 팽준영 |
소속 | 삼성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키워드 | <P>골대체재; 치조골; 하악골</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