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25, No.2, 222-226, April, 2014
자동차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의 타당성 분석
Validity Analysis of the Fine Particle Emission Calculating by Cars
E-mail: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시대기 중 문제시 되는 미세먼지 배출원의 주범으로 추정되는 유류를 사용하는 도로배출원(자동차)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배출계수 및 활동도 적용의 타당성과 미세먼지 제어를 위한 법제도 시행의 타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실제 교통량에 근거하여 작성한 본 연구의 자동차 배출량 공간분석 결과와 기존 방법과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대기 미세먼지 농도를 알아보기 위한 대기분산모델링을 수행할 때 현실적이 지 않은 배출량을 입력할 경우, 농도분포 결과의 심각한 왜곡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배출 미세먼지 공간분 석은 실제 교통량에 근거하여 작성해야 할 것이다. 국립환경과학원방법(2010)에 사용된 자동차 미세먼지 배출계수는 주로 2003~2007년식의 자동차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DPF 장착 등의 효과를 반영할 수 없었고, 서울 인근 도로노선별 자동차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결과 국립환경과학원방법과 본 연구방법의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승용차 배출량 중 휘발유차 배출량이 디젤차량 배출량과 대등하게 산정되었기 때문에, 현실에 맞는 디젤 및 휘발유 자동차 미세먼지 배출계수 개발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purposes are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ar emission factors for estimating road emissions and the legal framework for the control of particulate matters. At the result, when input emission data are not realistic, the modeling outpu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can lead to a serious distortion of the results. So, the spatial analysis of the dust emission vehicles have to be based on the actual traffic volumes. Because dust emission factors used in the car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ethod (2010) are mainly targeted for 2003-2007 cars these could not reflect the effect of DPF and the dust emission of gasoline passenger car. So, the real dust emission factors of diesel and gasoline cars need to be developed.
  1. Lee IH, Lee SJ, Park JS, Kim SD, KSCE Civil Eng., 16, 450 (2012)
  2. Lee HW, Lee Tae Jung, Kim Dong Soo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5, 75 (2009)
  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National Air Pollution Emission Calculation Method Manual(Ⅱ),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2010)
  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National Air Pollutant Emission, http://airemiss.nier.go.kr/nape/statistics/airpollution/ fuel/retrieve.jsp (2014)
  5. Paul B, Datta A, Datta A, Saha A, Particuology, 11, 249 (2013)
  6. Huang C, Lou D, Hua Z, Feng Q, Chen Y, Chen C, Tan P, Yao D, Atmospheric Environment, 77, 703 (2013)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2 Statistical Yearbook of Traffic Volume (2013)
  8. Statistics Korea, Present condition of vehicle registration, http://ww 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 =1257&bbs=INDX_001&clas_div=C&rootKey=1.48.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