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Purpose 안질환의 대표적인 치료법인 안약점안의 경우 생체이용률이 낮기 때문에 약물방출 콘택트렌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 탑재 및 약물 방출률을 제어하기 위해 bicontunuous microemulsion (BME)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속성을 가진 나노기공구조를 가진 콘택트렌즈를 중합하였다. Method 투명성을 가지는 BME 콘택트렌즈 중합 비율을 위해, 수성층인 D.I water, HEMA, DMA, 2-hydroxy-2-methylpropiophenone, 비수성층인 3-[tris(trimethylsiloxy)sily][propylmethacrylate], EGDMA, 중합가능한 계면활성제 Silmer A008-UP를 각각의 비율로 섞은 뒤,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고, 가장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비율의 모노머를 이용하였다. 중합은 모노머를 콘택트렌즈 몰드에 주입하고 240-450 nm의 UV를 이용하여 15분동안 광중합 하였으며, 약물방출 콘택트렌즈로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물리적 특성 및 기공 사이즈를 측정하였다. Result 전기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D.I water 15.71 wt%, HEMA 19.20 wt%, DMA 10.47 wt%, 2-hydroxy-2-methylpropiophenone 0.26 wt%, 3-[tris(trimethylsiloxy)sily][propylmethacrylate] 15.71 wt%, EGDMA 0.26 wt%, Silmer A008-UP 38.39 wt%에서 가장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졌다. 중합한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가시광선 투과율은 99.07±0.32 %, 함수율 46.48±3.01 %, 산소투과도 59.05±2.66, 기공사이즈는 112.80±11.88 nm로 나타났다. Discussion 위의 중합비로 중합한 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콘택트렌즈로서 적합 하였으며, 산소투과도의 경우 연속착용을 하여도 각막 부종을 일으키지 않는 고산소투과도를 가졌다. 또한 기공사이즈는 112.80±11.88 nm로 약물 캐리어 탑재가 적합한 사이즈를 가져 약물방출 콘택트렌즈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고산소투과성을 가지므로 치료용 콘택트렌즈 뿐만 아니라 시력교정용 콘택트렌즈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