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전도성 고분자는 고분자 자체의 구조나 기능성 측쇄기의 영향 뿐만아니라, 용매, dopant 및 dopping level에 의해서도 전도도의 차이가 있다[1,2]. 이러한 특성 때문에 최근들어 전도성고분자는 이차전지분야에 응용가능한 점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3,4]. 예를들면, 전도성폴리아닐린을 고분자필름 전지의 정극활물질이나 고체 고분자 전해질로 사용하여 4.0V 전후의 높은 작업전압과 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를 개발하였으며[5], 또한, 최근에는 고분자 필름전지용 정극활물질로써 단순히 전도성 고분자만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전도성 고분자나 유기화합물, 또는 무기화합물을 첨가시켜 복합전극을 제조하여 전지성능을 개선한 일본의 Oyama.N.등은 전도성 폴리아닐린에 폴리피롤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전극으로 전지를 구성하여 전지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고하였다[6]. 그러나, 폴리아닐린의 전기전도도가 다른 전도성 고분자에 비해 낮아 전지 이용상 불안정한 단점을 갖고있다. 따라서, 이미 본 연구실에서 합성한 폴리아닐린과 구조가 비슷하면서도 보다 우수한 전기전도도(약 2.0×101 S/cm)를 갖는 polyphenylenediamine(PPD)를 이용하여 복합전극을 제조하여 이들에 대한 정극성능을 조사하여 고분자필름 전지로의 응용성 연구를 행하고자 한다.
|